티스토리 뷰

목차



     

     

    조현병을 이겨낸 사람들의 이야기
    조현병을 이겨낸 사람들의 이야기

     

     

      조현병은 신경정신질환의 하나로,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흐릿해지고 정신적인 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환각(현실에 없는 것을 보거나 듣는 것), 망상(환상적인 믿음이나 생각), 사회적인 고립, 언어 및 사고의 이상, 감정 조절의 어려움 등이 있습니다.

     

      조현병은 특히 본인이나 가족에게 힘든 질병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조현병을 가진 사람들도 일상생활과 사회적인 참여에 성공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와 지원을 받으면 일상적인 활동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시간에는  조현병에 걸렸지만 그 위기를 잘 극복한 사람들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 이야기가 조현병 환자들에게 희망이 되기를 바랍니다.

     

     

     존 내시(John Forbes Nash Jr.)

     

      조현병에 걸렸던 유명한 사람 중 한 명은 미국의 수학자, 천문학자인 존 내시입니다. 존 내시는 뛰어난 수학적인 재능과 창의력으로 유명했으며, '내시 균형'이라는 수학적 이론을 개발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존 내시는 조현병에 걸려 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는 환각, 망상, 사회적인 고립 등의 증상을 경험했으며, 이로 인해 학문적인 경력과 개인적인 삶에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하지만 존 내시는 조현병과의 싸움에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그는 가족의 지원과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며 적절한 치료를 받았습니다. 약물 치료와 정신치료, 심리치료 등을 통해 조현병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일상 기능을 회복하였습니다.

     

      그 결과, 존 내시는 조현병과의 싸움을 이겨내고 수학적인 업적을 이어갔습니다. 그의 뛰어난 수학적인 기여는 인정받아 1994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였으며, 수학과 과학 분야에서의 위상을 다시 세웠습니다.  그의 이야기를 토대로 제작된 영화인 러셀 크로우 주연의 뷰티풀 마인드(Beautiful Mind, 2001)는 유명합니다. 

     

      존 내시의 사례는 조현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줍니다. 그의 이야기는 조현병을 극복하고 일상 생활과 업적을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또한, 그의 경험은 조현병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이는 데에도 기여했습니다.

     

    존 내시
    존 내시

     

     

     

     

    라이오넬 알드리지(Lionel Aldridge)

     

      라이오넬 알드리지(Lionel Aldridge)는 미국의 프로페셔널 풋볼(NFL) 선수로, 조현병을 이겨낸 놀라운 이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그린 베이 패커스(Green Bay Packers)와 함께 뛰며 슈퍼볼 우승을 차지한 경력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라이오넬 알드리지 는 풋볼 경력의 정점에 있을 때 조현병의 징후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환각, 망상, 사회적인 고립 등의 증상을 경험하며, 이로 인해 그의 일상 생활과 선수 경력에 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조현병으로 인해 그는는 풋볼 선수로서의 경력을 중단해야 했으며, 그 후에는 어려운 시기를 겪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조현병에 대항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며 약물 치료와 정신치료를 받았고, 심리적인 지원을 받으면서 자기 관리에도 힘썼습니다.

     

      이러한 노력과 치료의 결과, 라이오넬 알드리지는 조현병과의 싸움에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그는 조현병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일상 기능을 회복하였습니다. 라이오넬 알드리지 는 그 후로 조현병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다른 이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전하기 위해 활동했습니다.

     

      라이오넬 알드리지의 이야기는 조현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희망과 격려를 줍니다. 또한 그의 노력과 극복 이야기는 조현병을 가진 이들에게 가능성과 희망을 보여줍니다. 라이오넬 알드리지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조현병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에도 기여했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는 인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라이오넬 알드리지

     

     

    에린 색(Elyn Saks)

     

     

     에린 색 조현병을 극복한 놀라운 이야기를 가지고 있는 미국의 법학자, 작가, 교수입니다. 그녀는 조현병을 가진 사람으로서 자신의 경험을 통해 인식과 이해를 높이는 데 많은 기여를 한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녀는 어릴 때부터 조현병의 증상을 경험했습니다. 그녀는 환각, 망상, 정신적인 혼란 등의 증상으로 인해 학교와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조현병에 대한 스트로크와 의지력을 발휘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또한 그녀는 전문가의 도움과 약물 치료, 정신치료를 받아 조현병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일상 기능을 회복했습니다. 또한, 그녀는 심리치료와 자기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 관리와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익혔습니다.

     

      에린 색은 조현병으로 인해 겪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법학자로서의 성공적인 경력을 쌓아왔습니다. 그녀는 로스앤젤레스 대학교 로스앤젤레스법학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법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와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에린 색은 자신의 이야기를 공개하여 조현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전하고, 조현병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녀의 책 'The Center Cannot Hold: My Journey Through Madness'는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조현병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극복하는 데에도 기여하였습니다.

     

     

     

     

    에린 색

     


     

      지금까지 조현병을 이겨낸 사람들의 이야기를 알아보았습니다.

      이 분들은 일상생활이 가능했을 뿐만 아니라 사회의 영향력을 끼친 사람이 되었다는 사실이 인상적입니다. 

      이 세 사람의 공통점은 본인의 의지도 있었지만, 분명 주변 사람들의 도움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우선 사회에서 조현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편견과 오해를 없애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이들을 사회적인 활동에 참여시키고, 지역사회와 연결시키는데 도움을 주어 사회적인 지지를 제공해 주면 더 나은 일상적인 삶의 질을 누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